* 이 글은 강의를 들으며 개인적으로 정리하고 기록하기 위한 글입니다.
* 강의명 ) 프론트엔드 개발 초격차 패키지 Online
01. ECMAScript 개요 및 프로젝트 초기화
- ECMA: JS 표준화 기구
- open with liveserver가 아닌 방식으로 웹에 띄우기
02. 데이터 타입 확인
- 명령어 뒤에 세미콜론(;)
- 안 붙여도 되긴 함
- 한 줄에 한 개의 명령만 작성
// typeof로는 구분할 수 없는 데이터 타입을 구분해주는 함수
function getType(data) {
return Object.prototype.toString.call(data).slice(8, -1)
}
산출, 할당 연산자
- 산술 연산자(arithmetic operator)
- +, -, *, /, %
- 할당 연산자(assignment operator)
- =
- +=, -=, *=, /=, %=
비교, 논리 연산자
- 비교 연산자(comparison operator)
- ===, !==, <, >, <=, >=, &&, ||
삼항 연산자(ternary operator)
값 ? 값이 true일 경우 : 값이 false인 경우
const a = 1 < 2
// if else 구문
if (a) {
console.log('참')
} else {
console.log('거짓')
}
// 삼항 연산자
console.log(a ? '참' : '거짓')
랜덤 정수 반환 함수
// 랜덤한 정수를 반환하는 함수
function random() {
return Math.floor(Math.rencom() * 10)
}
Switch문
switch(a) {
case 0:
console.log('a is 0')
break
case 2:
console.log('a is 2')
break
default:
console.log('rest...')
}
반복문 For
const ulEl = documnent.querySelector('ul')
for (let i = 0; i < 3; i += 1) {
const li = document.createElement('li')
li.textContent = `list-${i + 1}`
ulEl.appendChild(li)
}
변수 유효범위
function scope() {
if (true) {
const a = 123
}
console.log(a)
}
scope()
- 위 코드의 경우 a가 콘솔에 출력되지 않음.
- 변수a의 유효범위가 중괄호{}로 감싸져 있는 if문 안이기 때문.
- 변수의 유효 범위 = 블록(중괄호로 감싸져 있는 범위)
- var는 웬만하면 사용하지 마씨오
'Study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] Ch 3. JS 함수 (0) | 2023.08.03 |
---|---|
[JS] Ch 1. Node.js (0) | 2023.08.03 |
[JS] 06 이벤트와 이벤트 처리기 (2) | 2023.01.26 |
[JS] 05-2 웹 요소에 접근하기 (0) | 2023.01.23 |
[JS] 05-1 DOM과 DOM 트리 (0) | 2023.01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