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s3 [JS] 05-1 DOM과 DOM 트리 DOM (Document Object Model) 자바스크립트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웹 문서에 접근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웹 문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방법 DOM에서는 웹 문서를 하나의 객체로 정의하고, 웹 문서를 이루는 텍스트나 이미지, 표 등 모든 요소도 각각 객체로 정의함 웹 문서와 그 안의 요소들을 객체로 인식하고 조절하므로 '문서 객체 모델'이라고 함 웹 문서 객체들도 객체이므로 프로퍼티와 메서드를 갖고 있음 DOM 트리 웹 문서는 여러 가지 태그가 서로 포함 관계를 갖고 있는데, 이러한 포함 관계로 인해 각 태그 간에는 '부모'와 '자식' 관계가 생김 DOM을 활용해 웹 문서의 요소를 부모와 자식으로 구분해서 표시하다 보면 나무 모양을 띄는데 이것을 'DOM 트리'라고 부름 2023. 1. 18. [모던 자바스크립트] 04-3 함수 표현식 함수 이름을 지정하지 않고 함수를 실행할 수도 있고, 프로그램에서 한 번만 사용할 함수라면 함수 선언과 동시에 실행하는 방법이 있음. 이런 함수는 식처럼 동작하므로 '함수 표현식'이라고 함. 익명 함수 말 그대로 이름이 없는 함수 익명 함수는 변수에 할당해서 사용할 수 있음. let sum = function(a, b) { return a + b; } console.log(`함수 실행 결과: ${sum(10, 20)}`) 두 수를 더하는 함수를 sum이라는 변수에 할당한 예제 변수에 저장된 함수는 함수 이름 대신 변수를 이용해서 함수를 실행할 수 있음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를 하나의 값처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함수를 변수에 할당할 수도 있고, 함수를 다른 함수의 매개 변수로 넘길 수도 있음 즉시 실행.. 2023. 1. 17. 순차적으로 요소 보이기 See the Pen Untitled by keemzleun (@keemzleun) on CodePen. 2022. 3. 1. 이전 1 다음